현재 게임 개발 방식은 지속불가능하다 외 | 게임 헤드라인

현재 게임 개발 방식은 지속불가능하다 외 | 게임 헤드라인

모험러의 어드벤처

3 года назад

36,353 Просмотров

Ссылки и html тэги не поддерживаются


Комментарии:

@프리-h8q
@프리-h8q - 17.05.2022 19:52

그렇다고 퇴화 할 수는 없다는게 문제인거 같네요

Ответить
@DokdoHanbokKimchiDaemadoKOREA
@DokdoHanbokKimchiDaemadoKOREA - 17.05.2022 20:04

툼레이더 = 만들기 가장 쉬운 방식이고 울궈먹다 지친 예
디아블로 = 울궈먹기의 대표적인 예
오버워치 = 울궈먹기의 새로운 시작
나중에 그래픽 수준이 최소 8k정도에 도달한다면
맵 제작은 대부분 그냥 애셋 스토어에서 가져다 쓰는 날이 올거 ㅇㅇ

Ответить
@먹태장인
@먹태장인 - 17.05.2022 20:21

사실 레데리2 정도면 이야기 혹은 모드, 챕터 만 추가되도 얼마든지 추가 구매 의향이 있는데...
더 멋진 건 좀 쉬엄쉬엄 만들고 효율적인 개발도 했으면 좋겠다.

Ответить
@hikerfrantz5829
@hikerfrantz5829 - 17.05.2022 21:15

인공지능이 발전해야함. 그리되면 사람은 오직 프로듀서만 필요하게 될거고, 나머지는 인공지능들이 광속으로 작업해 뚝딱뚝딱 게임들이 만들어질 것임.

Ответить
@Kimbosong0080
@Kimbosong0080 - 18.05.2022 00:42

배틀빗을 보면 게임은 그래픽이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저도 그래픽보단 게임성만 보고 있구요.

Ответить
@메에에-t5k
@메에에-t5k - 18.05.2022 04:11

맨 처음 기사에는 딱히 공감 못하겠네요. 우선 기자가 말하는 1년마다의 신작 출시는 그 시절엔 크런치가 당연한 거여서 그럴 수도 있는데 말이죠. 그리고 옛날에 출시 연기가 된 게임이 없는 것도 아니고요.
그리고 계속 쓸데없는 디테일 추가에 대해 반감을 보이시는데 물론 맞는 말이지만 어떤 게임 개발사가 말 고환 늘어나는 걸 구현하려고 게임 출시를 미룬답니까? 게임 출시 연기를 비판하려고 하다 핀트가 어긋난 것 같네요

Ответить
@Major_Tom_Oddity
@Major_Tom_Oddity - 18.05.2022 09:02

꼰대같이 들릴지는 모르겠으나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텍스트입니다. 예술 장르마다 그걸 표현하는 방식이 다를 뿐이지요. 미술이나 음악도 결국엔 그 뒤에 깔린 서사가 무엇인지 알 때에 온전한 감동이 오죠. 단순히 보기 좋은 이미지나 듣기 좋은 선율도 나름의 가치가 있으나 세상에 완전한 작품이 있다면 결코 거기서 한 두 걸음 쯤은 뒤에 있는 겁니다.

Ответить
@blood_and_bacon1257
@blood_and_bacon1257 - 18.05.2022 12:56

지난번의 스타시티즌 시트 구겨짐 논쟁과 이어보면 좋은 뉴스네요

Ответить
@burn4648
@burn4648 - 18.05.2022 17:51

그래픽이 구리면 또 구리다고 출시때 대차게 까대는 사람들도 많은거 보면 그래픽이 게임 팔리는데 영향이 큰건 팩트입니다. 그걸 아니까 돈 잘버는 대기업들도 무리해서 그래픽을 짜내는 거겠죠. 레딧은 게임광 너드들이 많아서 구린내나도 재밌으면 그만이라는 의견이 주류인데 이들이 전체 게이머의 5퍼센트라도 될까요.. 그리고 이들도 그래픽 구린 신작 jrpg 같은게 나오면 대차게 까댑니다

Ответить
@마리아-w2k
@마리아-w2k - 18.05.2022 21:22

일본 몇몇회사들이 공장 도장찍는거처럼 하면서 발전 개느리게 하는걸 좋게말할수도 있는데
유저들은 그 다른게임에 없는 디테일에서 만족감이나 놀라움을 느낌
현실에서의 명품도 마찬가지임 쓸데없다고 생각할수도 있지만 그게 남들과의 차별점을 만드는건데 물런 그만큼 불어나는 게임개발비는 매우 걱정임
여기서 말하는건 너무 디테일에 집착하다 게임 발매 타이밍을 놓치는거 이건 좀 문제임
어느정도 타협은 해야한다고봄
게임사들이 모두 개발시간이 늘어나서 기달리다보면 대작겜은 점점 줄어들수밖에 없을듯
그러다보면 겜 숫자가 줄어드는거 처럼 느낄수밖에 없고 영상은 디테일보다 게임성으로 승부봐야한다고 하는거 사람 수명이나 세대교체는 한계가있음
후속작 기본이 10년기달리는게 이제 멀지않았음 솔직히 이렇게 디테일 올려주는 회사도 가챠떄문에 없어져 가고있고 단품 하나만 팔아서는 힘든 시대가 온듯 BP로 엄청나게 많은 유저로 번다거나 쪼개서 낸다거나 킥스로 돈을 미리받는다거나 온라인 연동해서 캐시템 뽑아먹는다거나 뭔가를 해야됨

Ответить
@블레-l6o
@블레-l6o - 19.05.2022 00:20

하지만 그 디테일 관련으로 사펑과 지티에이 비교하며 엄청 까대지 않았던가.

Ответить
@안아줘요선생
@안아줘요선생 - 19.05.2022 02:10

쯔꾸르 게임이나 플레시게임이 더 재미있던것과 같나?

Ответить
@joonp8636
@joonp8636 - 19.05.2022 16:58

요새는 눈썩는다고 염병해대는 애들이 워낙 많아서 그래픽에 눈치가 많이 보일 수 밖에 없음. 특히나 실사화 그래픽은 더더욱.
애초에 카툰랜더링이나 실사화가 아닌 게임들은 그런 그래픽 시애미들이 덜 달라붙어서 좀 더 자유롭지만 실사화 그래픽 게임은 어쩔 수 없음.
근데 그렇게 그래픽타령해대면서 정작 그래픽 개쩌는데 게임 재미없으면 또 안함 ㅋㅋㅋㅋㅋㅋㅋㅋ

Ответить
@onefinedayyyy
@onefinedayyyy - 19.05.2022 22:13

말 고환이 어쩌고 밧줄이 사실적으로 움직이고 스펙타클이고 자시고간에, 마리오 오딧세이와 야숨은 그런거 없이도 충분히 위대한 게임이었음. (심지어 비주얼 면에서도!) 급하게 내놓은 게임보다 연기된 더 나은 게임을 출시하려면, 연기된 시간은 말그대로 더 나은 게임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 재밌고 감동적인 경험 말이다. 사이버펑크와 스타필드, gta의 연기되고 기나긴 개발기간이 진정 그걸 위한 것이냐고 묻는다면, 흠 글쎄.

Ответить
@딸기바-l7l
@딸기바-l7l - 20.05.2022 17:07

그래서 콘솔게임과 달리 온라인게임들이 와우나 로스트아크 처럼 어느 정도 타협을 보고 분기마다 업데이트 하지 않음? 그래서 소소한거부터 근간이 되는 메인콘텐츠까지 싹다 갈아없고 오래하게 되는거 같은데...

Ответить
@리로이젠킨스-c2e
@리로이젠킨스-c2e - 22.05.2022 05:01

현재는 게임성중에 하나로 비쥬얼이 많은 영향을 받는 상황이라고 봅니다.
스토리 편의성 버그 기타등등 종합적으로 봐야하지만
시대는 계속 변하고 있는데
20년전에 게임이 더 재밌고 더 신선하다는것은 그때 시대떄는
그런 게임류가 많지는 않았던거고 지금은 수많은 게임개발사가 있습니다.
새로운것을 개발할수록 아이디어는 한계가 올수 밖에요
게임 출시 연기도 보자면 사펑2077의 영향도 있을것이고...
게이머들의 눈을 점점 높아지면 게임개발은 점점 늦어 질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비쥬얼과 참신함을 둘다 만족하려면 매우 어려우니 개발시간이 오래 걸리겠지요
그냥 지금은 과도기라고 해야하지 않을까요?
즉 모험님같은 게이머들의 요구 수준이 점점 높아지니
게임의 개발시간이 오래걸리수밖에요...

Ответить
@mckeijin
@mckeijin - 22.05.2022 08:57

이래서 닌텐도 게임을 좋아하죠. 누구는 닌텐도 게임들 그래픽이 구리다 그러지만 ...
게임은 재미가 최고의 1순위여야한다고 생각하네요.

Ответить
@dsk3492
@dsk3492 - 22.05.2022 11:20

서론이 너무 길군요. 기술력은 계속 올라갈 겁니다. 단지 과도기일 뿐.

Ответить
@지금바로-s6c
@지금바로-s6c - 22.05.2022 11:57

라라가 늙었어 젊을때는 개이뻣는데

Ответить
@서재이-k5n
@서재이-k5n - 28.05.2022 03:39

확실히 AAA게임들은 기술적 발전에 눈독을 너무 들인 나머지 오히려 게임 플레이 경험에 한에서는 매너리즘을 겪는거 같아요. PS4를 처음 사고 AAA게임들을 처음 여러개 접했을 때에는 그러한 높은 기술력이 정말 좋은 게임 경험을 제공해주었지만 1-2년이 지나 그러한 AAA게임들을 다수 접하게 되니 전부 거기서 거기라는 느낌이 크게 들더라구요. 그래서 최근 몇년동안에는 신작 대형게임에는 눈길도 주지 않고 있어요. 전부 한가지 게임에 다른 모딩을 한 것마냥 다른 그래픽, 다른 모델링, 다른 디테일, 다른 스토리를 가졌을 뿐 본질적으로 다른 게임 경험을 제공해주지 못하고 있거든요. 요히려 요즘은 다양한 시도를 하는 인디 게임에 조금 더 눈길이 가네요.

Ответить
@hayake_2237
@hayake_2237 - 28.05.2022 08:46

차라리 pvp게임개발해서 롤에 덤비는게 다양성에 도움되고 수익모델에도 도움 될 거같은데...

Ответить
@geeksh4473
@geeksh4473 - 28.05.2022 20:01

그래픽 퀄을 위해 수백만원을 투자하는 게이머로선 개소리임
게임성만으론 눈뽕의 감탄 감동은 없음
저런 말하는 애드리 영화는 480p 해상도로 영화 안보고 4k화질로 영화를 봄

Ответить
@liquid_meme
@liquid_meme - 28.05.2022 20:24

그 놈의 힙스터 인디충들이 문제다
되도 않는 게임을 특이하고 새롭다는 이유만으로 높게 쳐주는 애들
점 하나 찍은걸 예술이라며 찬양하는 것들과 뭐가 다르냐?

Ответить
@kugisa
@kugisa - 01.06.2022 07:46

아마도 언리얼엔진5를 기점으로 다른 게임 엔진들의 대대적인 발전이 있을것 같습니다
여태까진 컴퓨터를 편하게 하기 위해서 제작자들을 고생시키는 방식이었지만 이건 처음부터 잘못된 방향이였죠
소프트웨어 기술력이 부족해서 그 지루하고 고된 작업들을 제작자들이 한땀한땀 해야만 했던게 게임의 개발기간이 무한정 늘어나는 원인이었던것 같습니다

Ответить
@ccmt2568
@ccmt2568 - 04.06.2022 14:21

정답은 리니지다!

Ответить
@in-km2ot
@in-km2ot - 07.06.2022 15:25

근데 게임개발하는 나라들보면 근무환경때문인것도 있는거같음
서양애들은 늦어지더라도 좀 자기계발할거 다하고 휴식이라던지 챙길거 다챙겨가면서 해야하니까 그런거아님?
우리나라는 뭔가 좀 안되고 늦어진다고하면 강제로 야근하고그러자나 야근같은거 못하는 나라도 있을수 있으니까 어쩔수가없는같아

Ответить
@최승원-g8i
@최승원-g8i - 08.06.2022 11:39

솔직히, 이정도면 게임엔진의 한계 아님?

Ответить
@이연서-i3z
@이연서-i3z - 08.06.2022 14:20

진짜 PS1이나 2처럼...2년 주기로 나왔음 좋겠내요 그땐 참 해마다 좋았는데 말이죠 ㅎㅎ
이제 그래픽이나 물리엔진 성능보다 효율적으로 빨리 만들수 있는 툴 개발이 필요할거 같습니다

Ответить
@김진우-w4u
@김진우-w4u - 08.06.2022 15:38

어짜피 나같은 그지는 최하그래픽으로 해서 뭘 하든 다 서든어택이라고

Ответить
@마당-t1d
@마당-t1d - 08.06.2022 16:41

게임을 다 만들고 스펙업을 해야하는데 풀스펙을 찍고 게임을 만들려고하니.....

Ответить
@보라색곰고기
@보라색곰고기 - 09.06.2022 08:55

근데 레데리 2 말고한 움추리는건 솔찍히 감동이였는데..

Ответить
@cat_sally
@cat_sally - 09.06.2022 19:34

과거엔 그래픽만 좋아도 재미있고 그랬는데...
이제 재미 본질이 뭔지 고민되고 할게임이 없고, 저질 그래픽의 게임에서도 재미가 느껴짐

Ответить
@youcantata
@youcantata - 11.06.2022 01:46

AAA 게임을 보다 작은 게임위주로 바꾸면 됨. 수억 달러가 드는 AAA 게임은 돈과 기간이 많이 들어 절대로 실패하면 안되므로 더욱더 많은 돈과 시간을 들이게 됨. 하지만 수백만 달러 이하의 B 급 모바일 게임은 10여명 정도의 작은 팀과 2년 정도의 짧은 기간이면 개발이 가능함. 현재의 모바일 게임의 개발 방법과 속도를 PC 게임 등에도 도입해야 하고 그만큼 게임 가격도 낮추어서 현재 70 달러 까지 올라간 게임가격을 20 달러 이하로 낮추어야 함. 그러기 위해선 개발도구 등의 혁신도 필요함.

Ответить
@jingyukim833
@jingyukim833 - 12.06.2022 16:12

앞에 기사는 너무 주관적이고 시야가 좁은거 아닌가? 현대에도 닌텐도나 유비소프트처럼 군더더기 없이 시리즈를 공장처럼 찍어내는 회사들 있잖아요. 이런 회사들이 디테일에 집착해서 장기간 개발하는 락스타 같은 회사보다 나은 걸까요? 닌텐도는 모르겠지만 저는 유비소프트가 락스타보다 낫다고 인정하기 힘드네요. 디테일에 집착하던 안 하던, 장기간 개발하던 단기간에 개발하던 자기들이 잘하는 방식으로 재밌게만 만들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Ответить
@horaisankaguya5389
@horaisankaguya5389 - 12.06.2022 20:09

얏지도 한때 말했던 적이 있습니다. 점점 더 디테일한 월드, 모든 건물의 모든 방에 들어가 개개 모두 다른 반응을 보이는 npc와 상호작용하는 월드. 그러나 사펑사태는 결국 인간인 이상 시간은 유한하고 인간이 망가지던 게임이 망가지던 물리적으로 한계가 존재함을 보여주었습니다. 락스타의 GTA5와 레데리는 좋은 게임으로 평가받지만 정작 유저들이 극찬하는 자유도 측면에서는 상당히 제한적인 게임입니다. 레데리2만 하더라도 무언가를 선행해야만 스토리 플롯라인을 따라가야만 어떤 요소가 해금됩니다. 여태까지 게임의 역사는 컴퓨터 성능의 역사였기에 더 좋은 그래픽과 더 많은 상호작용, 더 많은 자유도가 개발의 지향점이었지만 이제는 한계에 도달한 것입니다.

한때 90년대엔 영화도 벤허처럼 수천 엑스트라와 막대한 예산을 때려 블록버스터를 만들고 그게 명작이 되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그렇게 많은 예산을 들이지 않더라도 작가주의적 영화들이 명작으로 평가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게임계도 그러한 굴곡을 타고 있는 것입니다.

Ответить
@lowlanz
@lowlanz - 13.06.2022 01:39

오히려 디테일의 방향성이 잘못됐다고 봄. 포켓몬이나 과거 jrpg들이 보여준 상성이나 이스터에그 등의 게임성 측면의 디테일은 오히려 부족해지고 쓸데없는 잡퀘 사이드스토리같은 디테일이 많아짐.

Ответить
@silver33412
@silver33412 - 13.06.2022 15:18

굉장히 이기적인 내용이네 그렿게 나오면 또 과연 많이 할까 ㅋㅋ 하여간 진짜 이런소리거 역겹지

Ответить
@Hui_k
@Hui_k - 13.06.2022 15:24

GTA는 신작 개발에 큰 의미를 두지 않아서 개발이 늦어지는듯한 느낌
GTA5와 온라인이 매년 역대 매출을 기록해주니 굳이 신작을 무리하게 개발할 필요가 없게 느껴지는게 아닐까...

Ответить
@산삼-j8y
@산삼-j8y - 13.06.2022 16:21

우리가 게임에 화나는 부분은 돈과 시간이 오래걸려서가 아니라 돈과 시간을 부운만큼 퀄리티가 안나와줄때 화가 나는거임 그렇게 오래 걸렸고 돈이 쏟아부어졌으니 당연히 그에 상응하는 스토리나 그래픽등 수지가 맞는 결과가 나온다면 우리도 오 이게임 쩐다! 하면서 납득을 하지
추울때 말부랄이 쪼그라 드는거 하나라면 이딴거 왜만듬 하겠지만 게임은 그런 자잘자잘한 사실성이 수백개 수천개, 많으면 수만개를 집어넣어서 하나의 작품으로 빚어내는 거잖슴

예를들어 망토는 펄럭이기만 하면돼! 하면서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과 정반대로 펄럭이면 몰입이 돼겠음? 바람의 방향에따라 세기에 따라 망토가 어떻게 펄럭거리는지 그런 사실성 이 심어졌을때
그런 하나하나가 모여 게임이 나왔을때 우리는 감동하는거임

우리는 그걸 감안하고 기다리는거고
지금나온것도 이렇게 사실적인데 다음에 나올건 얼마나 현실같을까? 인거임
얼마나 발전했느냐를 보는거지

소비자들의 입장에선 당연히 1보단 2가 대단해야하고 2보단 3이 대단해야함
소비자들의 수준 눈높이가 날이갈수록 높아지는데 그걸 간과하고 아 이정도는 괜찮겠지, 이정도는 안넣어도 됄거야 하면서 한두개씩 빠지기 시작하면 당연히 퀄리티가 떨어져 보일수밖에

이미 헤비한 게임들은 사실성과 퀄리티의 상승이 기본적인 전제에 깔려있는것을 기준으로 만들어지고 있음 전작에 있던 사실성들이 후속작에 없다면 혹은 그걸 커버쳐줄 다른 뛰어난게 없다면 1년 후에 후속작이 나온다해도 그건 전작보다 발전하지못한 그저그런 빨리나온 겜이 돼는거임

난 3년 기다려서 나온게임이 전작과 별반차이없는 사실성이나 퀄리티의 결과물로 나오는거 보단

6년 기다려서 나온 게임이 전작보다 훨씬 발전한 사실성과 퀄리티의 결과물로 나오는게 훨씬나음

Ответить
@이용진-z5v
@이용진-z5v - 14.06.2022 10:25

게임 개발기간이 10년은 좀 그렇지. 게임 엔진과 A.I 이용하면 개발 더 편해질거 같은데. 게임엔진+머신 러닝 조합의 마소 개발 플랫폼 좀 만들지. 2~4년마다 게임 나올 수 있게. 10억 미만의 인디 게임을 키우던지. AAA급 만드는 게임사는 그만큼 게임 개발 플랫폼이 갖춰서 있어야지. 아니면 마소가 라이브 업데이트가 가능한 개발 플랫폼을 만들던지. 챕터방식으로 개발하면 개발기간 줄일 수 있을텐데. 마소 구독 서비스에 어울리는 게임 개발 방식이지만 3~6개월마다 한 챕터씩 나오는거. 아니면 마소가 게임 스튜디오 잔뜩 사들여서 협업 시켜서 개발기간 줄이던지.

Ответить
@alexhan4489
@alexhan4489 - 14.06.2022 10:51

더 나은 말고환에 대한 자부심을 가질수 없다면 게임 개발자들이 그렇게나 열심히 게임을 개발하려고 하지 않을걸..
그게 개발자라는 존재들이거든 ㅎ

Ответить
@박병호-d2n
@박병호-d2n - 14.06.2022 19:17

아서 모간 불---편

Ответить
@fuloling
@fuloling - 17.06.2022 00:28

"그러나 인생 혹은 그 모형에 있어서 '디테일' 때문에 속는다거야 해서야 되겠소?"
- 이상의 <날개> 中

방금 읽던 책 속의 문구인데 영상속 내용과 묘하게 들어맞는군요. 게임 속 디테일들은 우리가 게임속 세상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도와주지만 어디까지나 충분한 게임성과 작품성이 뒷받혀 줄때의 이야기겠죠.
게임뿐만 아니라 다른 상업 매체들에서도 보이는 현상 같아 참 씁쓸하군요.

Ответить
@조정재-h8m
@조정재-h8m - 17.06.2022 03:54

아무리 정성껏 치밀하게 만든 게임도 10년이나 걸리면 ㅋㅋㅋ, 트렌드를 반영한 양산형 겜들에 비해 촌스럽고 구시대적 산물 되는거죠

Ответить
@gloriouslife7359
@gloriouslife7359 - 17.06.2022 08:02

게임을 즐길수 있게 만드는 사람이 게임을 설계하지 못하고 돈버는 방법에 쫓기듯이 비주얼과 연출에만 신경쓰다보니 영혼없는 요리가 나오는거죠. 그냥 시장이 패스트푸드같은 게임을 바라면 사골국 끓여서 시골손맛(&비위생적) 내는 게임은 못나오는겁니다.

Ответить
@이불사랑-j9b
@이불사랑-j9b - 23.06.2022 11:55

리얼리티도 적당해야지.
레데리2에서 말이 똥싸지리는걸 계속보고 있어야 하는것도 웃긴일이지.
아마 레데리2하면서 가장 많이 본게 말이 똥싸는거겠지.
리얼리티를 강조하겠다고 넣는 쓸데없는 것들이 많아지긴 했지.

Ответить
@rocoroco5684
@rocoroco5684 - 24.06.2022 20:08

그래픽이나 물리엔진이 좋다고 좋은게임이 되는건 아니지만
그래도 떼깔이 좋고 정성이 들어가 있으면 플러스 요소일 수밖에

Ответить
@Droptheapple
@Droptheapple - 24.06.2022 22:41

사펑을 하도고 그런 소리가 나오나?

Ответить
@RamboCON
@RamboCON - 27.06.2022 06:49

콜오브듀티 같은 게임을 보면,
그래픽의 사실성과 디테일이 게임에 얼마나 몰입감을 주는지 알수 있음.
그러한 요소로 인해 기간과 비용이 소요되는것은 당연한것임.

소위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투자한 대작게임들의 판매량 및 수익을 보면,
그들이 왜 그러한 방식을 포기하지 않는지 알수 있음.

혁신과 재미있는 게임을 만드는것은 말처럼 쉬운것이 전혀 아님.

Ответить
@ARTWORK_TEST
@ARTWORK_TEST - 05.09.2022 10:57

근데 그렇게 생각하면 게임은 10년이 지나도 발전이 없겠지. 이런 사고방식이면 우린 아직도 찰흙그래픽으로 게임을 했어야할거임

Ответить